월패드, 스마트홈 장치, ioT 기기에 대한 해킹 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가정에서 사생활 노출을 방지하고 월패드 해킹 방지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있습니다. 월패드 외 주의해야 할 스마트홈 장치와 장치별 해킹 방지 방법을 안내합니다.
월패드 해킹 확인 방법
가정에서 월패드 기기를 확인해 해킹 되었는지 알아낼 방법은 현재 없습니다. 특히 아파트같이 '공용 인터넷망'을 사용하는 '공동주택'은 피해가 큽니다. 그래서 해킹 방지와 예방을 통해 사생활과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게 최선입니다.
그리고 아파트의 '공용 인터넷망'을 관리하는 중앙 서버의 보안 강화가 필요하겠죠. 방화벽 도입 및 전문 인력을 충원하는 경우입니다. 하지만 스마트홈이 해킹이 취약한 관계로 해킹 시도가 빈번합니다. 최근엔 이런 스마트홈 관련 보안시스템이 많이 개발되었기도 합니다. 문제는 이런 부분은 개인의 영역을 넘어서는 일이죠.
가장 좋은 방법은 '공용 인터넷망'을 세대별로 인터넷망으로 분리하고, 스마트홈 장비에 대한 보안 기준을 높이는 방법이 이상적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습니다.
몇 년전부터 빈번하게 발생하는 월패드 및 스마트홈 해킹 사례들로 보아 빠른 보완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월패드 및 스마트홈 해킹 피해
최신 스마트홈 주택이나 ioT 기기를 이용하는 가정에선 해킹으로 인한 다양한 위험이 있습니다.
- 월패드 및 웹캠 카메라를 통한 사생활 노출 및 개인정보 유출
- 원격으로 집안내 기기 조정 (난방, 가스, 조명등)
- 스마트홈에 연결된 현관 도어락 열기
월패드 해킹 방지 방법
월패드 해킹 차단 방법중 가장 간단하며 효과적인 방법은 월패드와 스마트홈 기기 카메라 렌즈를 테이프로 가려주는 것입니다. 기타 아래 방법들로 해킹을 방지하고 예방하도록 합니다.
01. 우선 기기 전원을 껏다 켜세요.
재부팅되며 기존에 해킹에 노출되어 있던 IP 주소가 변경 가능합니다. 또는 프로세스에 상주한 해킹 툴을 비활성시키는 방법중 하나입니다. 주기적으로 진행하시면 좋습니다.
02. 월패드 카메라 부분에 테이프나 커버를 붙여 렌즈를 가립니다.
월패드 렌즈를 일상에서 쓰이는 테이프로 가려서 혹시 모를 사생활 노출을 막습니다. 카메라 위치는 기기마다 틀리지만 대부분 기기 중앙 상단에 홀이 있습니다.
※ 최근 스마트 아파트의 경우 월패드 외 주방용 비디오폰에도 카메라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방용에도 부착하세요
03. 일반 테이프가 마음에 들지 않으시면 판매용 상품을 찾으세요.
일반 테이프가 보기 안좋고 간혹 카메라를 사용하는 가정에서는 '웹캠 커버'로 열고 닫으며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해킹방지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04. 월패드 설정에서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합니다.
번거롭더라도 월패드 '설정'에서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변경하세요. 비밀번호는 0000, 1234 같은 연속된 번호나 쉬운 구성은 절대 피하세요. 초보 수준의 해커가 가장 쉽게 사용하는 방법이 이런 통상적인 비밀번호를 입력해 보는 것입니다.
*국내 월패드 제품들의 초기 비밀번호는 코멕스는 1234, 2580 중 하나입니다. 코콤은 9999이고, 현대는 0000과 1234가 있습니다. 삼성 제품은 초기번호가 없습니다.
월패드 비밀번호 설정 방법 및 초기 비밀번호 안내
제조사 | 초기 비밀번호 | 비밀번호 설정 방법 |
코멕스 | 1234, 2580 | 코멕스 설정 → 사용자 옵션 → 비밀번호 |
코콤 | 9999 | 환경설정 → 비밀번호 → 비밀번호 입력 → 확인 |
현대 에이치티 | 0000,1234 | 방범 → 설정 → 초기 비밀번호 입력 → 비밀번호 변경 |
삼성 | 초기번호 없음 | 설정(구형은 톱니아이콘) → 비밀번호 → 외부접속 비밀번호 |
* 같은 제조사도 기기별로 설정 방법은 다를 수 있습니다. |
05.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꼭 해줍시다.
월패드 및 스마트홈 기기들은 휴대폰처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지원합니다. 특히 보안 취약점 부분은 제조사에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보완하기도 하니 업데이트가 가능한 기기라면 무조건 업데이트 해주세요.
기타 스마트 기기, IoT 기기 해킹 방지
월패드 해킹 외에도 인터넷이 연결된 스마트기기들은 해킹이 가능합니다. 특히 아이들 및 반려동물 안전 확인을 위한 이동형 웹캠(CCTV)도 해킹에 취약합니다.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장치의 경우는 마찬가지입니다. 공용인터넷 사용시 간단한 해킹 도구로도 주고받는 내용들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요즘 출시되는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들이 그 대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해킹 가능한 스마트 기기
- 무선공유기
- 노트북, 태블릿
- 가정용 웹캠 (아이들, 애견용 CCTV)
- lOT(사물인터넷) 기기
01. 무조건적인 공유기 비밀번호 설정 및 주기적인 교체
02. 부득이 아이들, 애견 확인용 웹캠 (CCTV) 사용시 사용하지 않을 시 방향을 돌려놓거나 연결 해제합니다.
03. 노트북의 웹캠 카메라는 흔한 공격 대상입니다. 사용하지 않을땐 언제나 테이프로 가려 놓습니다.
04. lOT(사물인터넷) 기기는 되도록 보안 관련 업데이트가 가능한 기기를 구매하세요. 위 사진의 구글 네스트의 경우는 5년간 자동 보안 업데이트를 통해 보안 문제를 보완합니다. 물론 광고는 아니며 구글 네스트외에도 보안 업데이트를 지원하는 장치를 구매하시면 좋습니다.
05. 외부에서 노트북등으로 공개 와이파이를 이용할 경우 해킹에 노출 우려가 굉장히 높습니다. 노트북과 스마트폰은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시길 바랍니다. 가장 안전한 방법은 외부 공개 와이파이보다 스마트폰 핫스팟등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데이터 비용이 걱정되신다면 적어도 개인정보나 금융거래 할 때만이라도 안전하게 이용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이미 유명한 사진입니다. 당시 세계 최대 IT기업 '페이스북' CEO였던 마크 주커버그마저도 해킹을 염려해 노트북 웹캠을 테이프로 가리고, 랜포트를 가렸습니다. 이처럼 최강 IT 기업의 수장도 해킹에는 취약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고 항상 보안에 유의하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