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SSUE

드릴/생활공구, 이제 주민센터 <공구도서관>에서 빌려쓰세요.

드릴과 같은 생활공구들 잠깐 활용하려 구입하기에 고민입니다. 이제 인근 주민센터에서 진행하는 <공구도서관>을 통해 생활공구를 대여하는 방법을 안내 드립니다. 대여항목과 필요사항, 직접 체험한 후기도 포함합니다.

 


 

 

<우리동네 공구도서관> - 공구 이제 주민센터에서 빌려 쓰세요.


이사철이나 집안 단장을 위해 가구라도 한 번 들이려면 필요한 공구들. 한번씩 필요하지만 몇 해에 한 번 사용할법한 드릴같은 공구를 구매하기는 고민됩니다. 이런 고민중이라면 이제 주민센터들이 준비한 <우리동네 공구도서관>을 활용해 보세요. 각 주민센터에서 여러가지 생활공구를 대여해주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공구도서관에서 빌릴 수 있는 공구들


주민센터별 구비된 공구가 다르니 방문이나 예약전 전화 문의 후 방문하세요.

아래는 기본적으로 보유한 공구들입니다.

 

  • 유선/무선 드릴
  • 공구세트
  • 사다리
  • 직소
  • 핸드 그라인더
  • 다목적 가위
  • 망치 및 톱
  • 커터
  • 파이프렌치, 스패너
  • 글루건
  • 전선릴
  • 그 외 각 주민센터별 상이

 

공구도서관-공구목록

 

생활 공구부터 전동 공구까지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습니다. 전동 드릴외에도 그라인더같이 한 번 사용을 위해 구매하기 힘든 공구들의 대여가 가능합니다.

 

 

 

공구도서관 이용 안내


● 공구대여 기준

만 18세 이상의 시민으로 1인당 최대 3개 대여가 가능합니다.

방문시 신분증 지참하셔야 합니다.

 

대여 기간 :

2박 기준 (1회 연장 가능) 

대여 비용 :

무료

대여 가능 시간 :

주민센터 운영시간내 평일 오전 9 시 ~ 오후 6 시 (주말, 공휴일 제외)

대여 조건 :

분실 및 파손시 동일 신품 배상 조건

 

 

● 공구대여 방법

전화를 통한 예약

일부 주민센터는 <공구도서관>을 운영하고 있지 않습니다. 방문 가능한 주민센터에 전화로 공구 보유여부 확인후 방문하세요. 꼭 거주 지역 주민센터가 아닌 인근 주민센터에서도 대여가 가능합니다.

 

공유누리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예약

<공구도서관> 운영중인 곳과 해당 공구 보유 유무까지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홈페이지와 앱상에서도 예약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방문전에 꼭 전화로 예약을 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공유누리 사용시 물품 - 분류 선택 : 공구·기계·기기(16163) - 찾는 시·도 선택 - 시·군·구 선택 - 검색하기로 검색 가능

공유누리 앱/홈페이지 공구 찾기 및 간편예약

 

 

공유누리 앱을 통해 필요하신 공구를 검색하시면 인근 주민센터 보유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후 전화로 예약 문의하시고 방문하십시오. 방문시 신분증을 지참하시는 것 기억하세요.

 

 

 

공구도서관 실제 이용 후기


가구에 작은 구멍을 내려 보유한 드릴을 꺼냈지만 배터리가 방전이었습니다. 문득 <공구도서관> 시행 소식이 기억나더군요. 바로 공유누리 홈페이지를 통해 인근 주민센터에서 드릴 보유를 확인했습니다. 간편 예약을 마치고, 확인차 안내된 담당 전화번호로 예약 내용을 다시 확인했습니다. 바로 방문후 담당자분을 찾아 대여 현황서를 작성한 후 신분증을 맡기고 대여를 마쳤습니다. 다시 주민센터를 나오는데 약 5 분여밖에 걸리지 않을만큼 신속하게 처리되었습니다.

공구는 반납시 작동 확인 및 정비를 거치지만 미리 공구 상태 확인하고 대여하도록 전화로 먼저 방문 예약하시면 더 편하게 예약이 가능하다는 안내도 받았습니다.

 

공구도서관-공구비치함공구대여과정
비치된 공구도서관에서 담당자분께 대여 현황 작성후 쉽게 대여를 마쳤습니다.

 

공구도서관-대여주의사항공구도서관-드릴상태
굉장히 양호한 상태의 무선 드릴을 대여받아 잘 활용하고 반납했습니다.

 

 

 

뜻하지 않게 활용한 <공구도서관> 과 <공유누리> 같은 생활밀착형 서비스는 여러모로 유용하였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홍보 부족인지 활용하는 민원인이 많지는 않다고 합니다. 이사나 간단한 공사에 잠깐씩 필요한 공구 이제는 구매보다 <공구도서관>을 활용해 보세요.